dev/dev

HTTP

hazelbean 2022. 1. 17. 18:00

인터넷(Internet)

인터넷은 TCP/IP 기반의 네트워크가 전세계적으로 확대되어 하나로 연결된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로 수많은 네트워크들의 결합체이다.

이름 프로토콜 포트 기능
WWW HTTP 80 웹 서비스
Email SMTP/POP3/IMAP 25/110/114 이메일 서비스
FTP FTP 21 파일 전송 서비스
DNS TCP/UDP 53 네임 서비스
NEWS NNTP 119 인터넷 뉴스 서비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protocol)이다. 주로 HTML 문서를 주고받는 데에 쓰인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 적합하다.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계속 연결된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최대 연결 수 보다 훨씬 많은 요청과 응답을 처리할 수 있다.

 

응답을 하고 나면 연결을 끊어버리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이전 상황을 알 수가 없는 무상태(stateless) 프로토콜이다. 무상태 프로토콜의 특징 때문에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쿠키(cookie)와 같은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는 HTTP 프로토콜의 보안이 강화된 버전이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이다. 즉, 컴퓨터 네트워크와 검색 메커니즘에서의 위치를 지정하는, 웹 리소스에 대한 참조이다. 쉽게 말해서, 웹 페이지를 찾기위한 주소를 말한다.

 

흔히 웹 사이트 주소로 알고 있지만, URL은 웹 사이트 주소뿐만 아니라 컴퓨터 네트워크상의 자원을 모두 나타낼 수 있다. 그 주소에 접속하려면 해당 URL에 맞는 프로토콜을 알아야 하고, 그와 동일한 프로토콜로 접속해야 한다.

 

접근 프로토콜://IP 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문서의 경로/문서 이름

https://hazelbean.tistory.com/entry/HTTP

 

 

 

 


참고 자료

부스트코스, "웹의 동작(HTTP 프로토콜 이해)",  https://www.boostcourse.org/web316/lecture/16661/?isDesc=false, (2022.01.17)

"HTTP", 모질라,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Overview, (2022.01.17)

"HTTP",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HTTP, (2022.01.17)

"URL",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URL, (2022.01.17)